안녕하세요 Geek Papa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가 경험한 재테크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기 위해 작성했습니다.
재테크를 어려워하시는 분들도 이 글을 통해 가장 기본적인 재테크 방법을 터득해보시기 바라겠습니다.
통장쪼개기는 많은 분들이 하고 계시고 또 들어보셨겠지만,
저희 부부가 하고 있는 강제 저축 방법을 알려드릴테니, 부자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아! 돈이 불규칙하게 들어오시는 분들은,
꼭! 생활비통장과 월급통장을 분리해서 쓰시길 바랍니다.
생활비 통장에 스스로 월급을 준다는 생각으로 매달 생활비를 자동이체 시켜두시고
나머지는 다른 투자에 활용하시면 돈관리가 가능합니다.
통장쪼개기의 시작
제가 20대 후반에 결혼하고 나서 제일 바뀐 부분은 바로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시작이 반이죠...?)
또히와 놀거나 출퇴근할 때 재테크를 틈틈이 공부하였고, 얼마전 서울 한 지역에 아파트를 매매하였습니다!
그럼 또히네 부부가 내 집 마련을 위해 어떤 시스템을 구축했는지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부부의 돈 관리 방법
일단 저희 집은 부부가 통장을 오픈하여 한 사람이 관리합니다.
서로 자산을 오픈해야 더 좋은 미래를 그릴 수 있기에, 합의를 하였고 제가 관리하고 있습니다.
서로 급여를 받으면, 이를 한통장으로 모으고 자산을 배분하는 통장쪼개기를 실천하였습니다.
통장 쪼개기 가장 큰 장점은 자금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 뜻하지 않는 일이 발생하였을 때 재무 포트폴리오가 망가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월급 통장에 경우 각자 통장으로 급여를 받으면 잔액은 항상 0원이 되도록 유지하였습니다.
물론 각자의 연말정산을 위해 지출해야 하는 고정비는 제외하였습니다.
예비통장 개설
급여 통장에서 예비 통장으로 매월 이체를 하고,
예비통장에서 금융상품, 생활비통장으로 이체하게 만들었습니다.
예비통장은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고 이자가 높은 CMA 통장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저는 금융상품을 비교해주는 사이트를 통해서 CMA 통장의 이자율을 비교 하였고,
그중 가장 이자율 높은 CMA 통장을 선정하였습니다
- 재테크 포탈: http://www.moneta.co.kr/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고시: http://finlife.fss.or.kr/main/main.do
CMA 통장에서 금융상품으로 매달 자동 이체한다면 약간의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지만,
한번 설정한 이후로는 상당히 편리합니다
여기서 팁은 이체 날짜를 동일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까먹지도 않을뿐더러 자금의 흐름을 한 번에 파악할 수 있어 관리하기 더 편리하죠
생활비 통장
생활비 통장의 핵심은 하나의 통장에서 생활에 필요한 비용을 지출하는 것입니다.
또한, 최고의 투자는 지출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에서 시작하며 신용카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비 통장에서 생활비 통장으로 이체하기 전 몇 달 간의 지출 내역을 정리하여
본인이 한 달에 얼마를 사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저희 부부는 집을 장만한 것에 목표를 두었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한 달 예산을 설정하였습니다.
애초에 쓸 수 있는 돈이 적다면 자연스레 소비도 줄게 되겠죠
소비 통장은 체크카드로 연동하여 사용합니다.
한 달에 5만 원 덜 쓰기라는 목표보다는 생활비 통장에 5만 원 덜 이체하는 것이 지키기 쉽습니다.
주의할 점은 돈이 부족하다고 해서 추가로 잔고를 늘리면 안 됩니다
저희 부부는 현재 카카오뱅크 모임 통장을 생활비 통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각자의 명의로 만든 모임 통장에서 체크카드를 발급받아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통장쪼개기에 대한 나의 생각
통장쪼개기는 저축 습관을 길러준다고 생각합니다.
자산을 모으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단순히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드머니를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쓴 후에 저축하지 말고 저축하고 나서 남은 돈을 쓰라는 거죠
어느 정도 돈이 모이다 보면 이 또한 취미가 되어, 돈이 불어나는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겁니다
오늘도 성공적인 선택을 하셨길 바라며,
다음 글에서 뵙겠습니다.
'같이 공부하는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테리어 전 집 도면 구하기 (0) | 2020.02.19 |
---|---|
[알뜰꿀팁] 국가별 직구 가격 비교 사이트 및 직구시 유용한 팁 (0) | 2019.12.19 |
좋은 아파트 고르는 방법 (0) | 2019.11.13 |
이사 업체 선정 및 이사 전 점검사항 TIP! (1) | 2019.10.28 |
[서울 내집 마련] 아파트 매매 절차 마지막! <잔금날 하게 되는 일> (0) | 2019.09.26 |